synun
개발시넌
synun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1)
    • javascript (5)
    • react (8)
    • web (1)
    • git (3)
    • aws (1)
    • project (0)
    • 개발일기 (36)
    • 항해99 (16)
    • 회고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React
  •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 Howler
  • TIL
  • Algorithm
  • Selenium
  • react-query
  • use-sound
  • GIT
  • gh-pages
  • wil
  • Vite
  • howler.js
  • 항해99
  • githubactions
  • github actions
  • 인프콘
  • 합성컴포넌트
  • apt-fast
  • framer-motion
  • life-cycle
  • CI/CD
  • 인프랩
  • sipe
  • 알고리즘풀이
  • fout
  • Redux-toolkit
  • json-server
  • javascript
  • SSE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synun
개발일기

[TIL] 자바스크립트에 시동걸기

[TIL] 자바스크립트에 시동걸기
개발일기

[TIL] 자바스크립트에 시동걸기

2022. 11. 19. 01:28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긴장감이 갑자기 싹 없어져서

오랜만에 한가하게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오늘부터는 알고리즘 공부를 시작하는 주간이라서

자바스크립트라는 언어의 특성을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Javascript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은 무엇일까 ? 1.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 동적 타입 JavaScript는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입니다. JavaScript의 변수는

synuns.tistory.com

 

느슨한 동적 타입이라니...

느슨한 것도 맘에 안드는데 동적이기까지 해버린다

지 맘대로에 속을 도통 알기가 힘든 녀석

 

내가 제일 싫어하는 언어 특성이지만

이제부터 좋아하기로 마음먹었기 때문에

감당하기로 했다.

 

쉽게 사용하던 자바스크립트였는데

쉽게 사용하던 만큼 내부 작동원리는

생각보다 많이 복잡했다.

 

추후에 실행 컨텍스트에 대해서

깊게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이제부터 잘해보자

자바스크립트야!

'개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비트 주세요  (1) 2022.11.25
[TIL] 인생은 시험의 연속이다.  (2) 2022.11.24
[TIL] 고통이 무뎌질 만큼  (1) 2022.11.23
[TIL] 자바스크립트를 알고리즘으로 배웠어요  (2) 2022.11.22
[TIL] 행복했던 너와 이제는 안녕...  (0) 2022.11.19
    '개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인생은 시험의 연속이다.
    • [TIL] 고통이 무뎌질 만큼
    • [TIL] 자바스크립트를 알고리즘으로 배웠어요
    • [TIL] 행복했던 너와 이제는 안녕...
    synun
    synun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